브랜드와 과제
B사는 Amazon 내 기초 뷰티 & 색조 카테고리에서 활동 중인 브랜드로, 높은 CPC와 빠른 제품 주기를 특징으로 하는 시장에서 광고를 통한 초기 성과 확보가 매우 중요한 구조에 놓여 있었습니다.
하지만 당시 B사는 광고 운영을 아직 배우는 단계에 있었고, “광고 전략이 맞게 가고 있는지”조차 확신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특정 제품에 광고비를 집중하고 있었지만, 수익 구조가 따라오지 않아 지속 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B사는 Optapex를 도입해 광고 구조를 수익성 중심으로 재정비하고, 효율적인 운영 기준을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LG Optapex의 전략
1) 전략은 셀러가, 실행은 자동으로
B사는 실험하고자 하는 제품군과 방향은 스스로 판단하고 있었지만, 성과에 따라 광고를 조정하는 반복적인 작업까지 직접 수행하긴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Optapex는 이러한 전략을 기반으로 성과 지표를 실시간 분석해 광고 효율이 낮은 제품에는 평균 25%, 수익성이 떨어지는 제품에는 평균 32%의 예산을 감축했습니다. 반면, 성과가 유지되거나 수익성이 높은 제품에는 광고를 유지하거나 확대하며 예산이 무의미하게 분산되지 않도록 구조를 정비했습니다.
광고를 배우는 중이었지만, Optapex 덕분에 전문 광고 운영자처럼 안정적인 판단과 실행이 동시에 가능해졌습니다.
2) 효율은 유지하고, 비용은 낮추다
광고 효율 개선 역시 중요한 과제였습니다.
Optapex는 과거 캠페인에서 과도하게 높았던 CPC를 절반 수준으로 조정했고, 이전에 활용되지 않았던 키워드와 매치타입까지 탐색해 매출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확보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광고비는 16% 줄었지만 광고매출은 313% 증가, ROAS는 88% 개선되며 지속되던 적자가 흑자로 전환됐습니다. 단순히 비용을 줄이는 데 그치지 않고, 더 나은 성과를 더 적은 예산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든 결과였습니다.
3) 하루 종일 광고가 유지되도록 – 타이밍 최적화
B사의 제품은 구매 전환이 주로 저녁 시간대에 집중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예산이 오후 이전에 소진되면서 광고가 가장 중요한 시간대에 종료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Optapex는 캠페인별 예산 소진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했고, 그 결과 광고가 오후 7시 이전에 조기 종료되는 비율은 49.6% 줄었습니다. 이로 인해 전환율이 높은 시간대까지 광고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셀러 입장에서는 별도의 시간 관리 없이 전략적인 운영이 가능해졌습니다.
성과
Optapex 도입 이후, B사의 총매출은 212.0%, 총이익은 무려 625.0% 증가했습니다. 광고비는 이전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되면서, 전체 TACOS는 80.0% 개선됐고 ROAS는 88.0% 상승해 광고 수익률 또한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단순히 매출만 늘린 것이 아니라, 수익 중심의 광고 구조로 전환된 결과가 숫자에 고스란히 드러났습니다.
결론
B사는 광고 성과를 개선하고, 수익성 중심의 운영 구조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Optapex는 반복적인 운영 작업을 자동화하고, 실적이 검증된 제품에 예산을 집중하는 구조를 셀러 대신 실시간으로 실행했습니다.
이 사례는 광고 운영 경험이 많지 않은 셀러라도, 명확한 전략과 그 전략을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만 갖춰진다면 충분히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All page content is property of LG Optapex. The source must be indicated when quoting and any further copying, unauthorized reproduction or redistribution is prohibited.